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과같이/인문,문학41

사피엔스: 그래픽 히스토리 오늘은 가벼운 마음으로 책 소개를 짧게 하고자 합니다. 사피엔스 만화 버전입니다. 는 제가 독서를 꾸준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출발점이 된 책입니다. 어쩌다 마주친 그런 책들 다들 경험이 있으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2년 전쯤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아내의 친한 언니가 아내한테 선물한 책인데 저의 책장에 꽂혀 있었죠.책도 두껍고 해서 그냥 책꽂이의 한자리를 꾸준히 지키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제가 사피엔스를 읽고 있더라구요. 사피엔스를 정말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 사피엔스가 기억 속에서 희미 해질 때쯤 또 한 번 읽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는데 다른 책들이 눈에 밟혀 잘 들어오지 않더라구요.그때 나타난 녀석이 바로입니다. 그래픽 시리즈는 4권으로 나누어서 나올 예정인데 그중에 첫 번째 .. 2021. 2. 19.
쓰기의 말들 블로그 이웃의 글을 보다 알게 된 책이다. 몇 개월 전부터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에 책을 읽은 후 짧은 후기들을 남기고 있다. 아직은 시작 단계이지만 잘 쓰고 싶다는 욕심이 생긴다. 욕심이 있어야 성장하는 거니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멋진 후기를 남기고 싶고 좋아요. 댓글도 많이 받고 싶다. 나는 나를 잘 알고 있다.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것을. 저자의 이름 '은유'가 잔잔하게 다가왔다. '은유'라는 필명을 가지게 된 이유는 이렇다. "나의 문장 스승은 크게 둘로 나뉜다. 니체와 다른 작가들. 니체의 글에 도치된 나는 충동적으로 '은유'라는 필명을 지었다." 니체의 삶을 읽은 후로는 읽는 책들에서 니체에 관련한 글들을 종종 본다. 아는 만큼 보이는 걸까? 조금은 그냥 뿌듯하기도 하다. 저자인 은유는 작가.. 2021. 2. 1.
니체의 삶 새해에 목표로 세웠던 책중의 한 권을 읽었습니다. 하루에 60~70여쪽씩 해서 10일 동안 읽었습니다. (참고문헌 포함 692페이지입니다.) 철학, 아니 철학자에 대한 책은 처음 읽은 것 같습니다. 니체의 삶을 택한 것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신박사님 유튜브'를 통해서였습니다. 니체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조금은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다고 하셔서 그냥 한번 도전해 봤습니다. 책장을 펼쳐보니 조금 생소한 이름들이 많아서 조금 집중해서 읽었습니다. 다른 어떤때보다 집중력을 발휘하긴 했지만 10일이나 걸렸습니다. (아직 뇌에서 잘 받아들이질 못하네요.) 일단 한번 읽었다는 것으로 만족합니다. 먼저 책의 저자인 수 프리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 프리도 소설가이자 전기 작가이다. 영국에서 태어나 노르.. 2021. 1. 26.
말장난 유 명을 달리할 때까지 병 들고 늙어서도재 미를 탐구하고 싶습니다. 어 떤 핏줄이길래머 리가 돌이니?니 애비 닮아서 그렇지. 아 들이라고 하나 있는 게버 르장머리 하곤.지 애미 닮아가지고. 불 효자가 볼 때쌍 방과실이요. 어 리숙했어도제 법 괜찮았어 오 지도 않은 내일을늘 걱정한다. 내 거지만일 면식 없음.작 은 바람.가 능한 한 단 한 사람에게 단 한 줄이라도 의 미 있는 글이 되었다면말 할 수없이 행복할 거예요.책 은 한 시간 정도면 읽을 수 있지만 작가만의 통찰과 해학이 느껴지는 책이다.과 연 재미도 있을까?같 이 해봤다. 아내에게 운을 띄어보라고 하고 삼행시를 해봤다.이 럴수가 아내가 웃었다. 피식~~ 2021. 1. 19.
MAGAZINE G 스크린 터치 한 번으로 다른 동영상으로 점프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보다 더 쿨하면서, 동시에 생각과 마음을 터치해 나의 시선과 삶을 점프하게 해주는 오프라인 콘텐츠는 불가능한 걸까요? 깊이와 흥미로움의 경계를 가볍고 자유롭게 오고 가고 싶었습니다. 누구나 한번쯤 품게 되는 질문을 지금의 문장과 감각으로 나누어보고 싶었습니다. - 프롤로그 중 - 오늘은 잡지책 한 권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라는 김영사의 지식교양잡지입니다. 책을 한권씩 읽기에는 긴 호흡이 필요하기 때문에 짧은 호흡으로 읽을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던 때에 바로 눈에 들어왔던게 바로 이 녀석이었습니다. 우연히 SNS상에 올라온 광고를 보고서 구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일단 표지 디자인은 조금 파격적이죠. 이번 창간호 주제는 나란 무엇인가? 입.. 2020.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