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영의 올림픽 금메달을 딴 후 기자회견을 보면서 조금 답답한 마음에 글을 쓴다.
먼저, 축구협회 이야기부터 하고 싶다.
먼저 클린스만 전 감독 선임을 보자. 여러 나라에서 국가대표를 맡았다가 실패하고 백수로 있던 클린스만을 대한 축구협회장의 전화 한 통화로 우리나라 국가대표 감독이 된다. 2024년 아시안컵 동안에 무전술로 일관하다 4강에서 한수 아래인 요르단에 2대 0으로 지고 말았다. 그나마 4강까지 간 건 손흥민, 이강인, 황희찬 등이 있어서였다. 4강 나쁘지 않은 결과이다. 하지만 결과가 문제가 아니라 과정 자체가 잘 못 되었기 때문에 4강이라는 결과를 가지고도 협회가 욕을 먹는 것이다.
또 하나 얼마 전 국가대표 감독이 된 홍명보 선임 역시 겉으로는 절차를 거친 것처럼 포장했지만 결국 클린스만 감독 때랑 별반 차이가 없다. 이미 결론을 내놓고 외국 감독은 그냥 보여주기식이었다. 시작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홍명보 감독이 좋은 결과를 가져와도 욕을 먹을 것이다. 그냥 내 예상은 다음 월드컵에서 결과도 좋지 않을 것이다. 나는 결과가 안 좋았으면 하는 속마음이다. 선수들에겐 미안하지만...
내가 축구협회 내부 상황까지 속속들이 알 수 없지만 언론에 나온 기사와 기자회견등을 종합해볼때 정말 한심하다는 말밖에 안 나온다. 그리고 축구협회장의 자화자찬과 핑계로 일관한 책의 출판 정말 가관이다.
배드민턴 협회 이야기를 해보자.
안세영 선수가 기자회견을 할때 협회가 모든 것을 막고 있다는 말을 했다. 단식, 복식, 개인의 특성들이 다른데 그냥 협회에서 앉힌 감독이나 코치가 하라는 대로 할 수밖에 없었다는 예상을 해본다. 자유라는 말로 포장하고 한마디로 선수들을 옆에서 도와주고 관리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 축구협회가 아시안컵 때 연습경기장을 잡지 못해 호텔에서 훈련한 것과 매 한 가지라고 볼 수 있다. 전혀 선수들에게 관심이 없는 듯 하다. 그럼 협회는 왜 있는 것인가? 의문이다.
여기서 카타르 월드컵을 16강으로 잘 마무리 한 전 벤투 감독이 " 축구협회는 선수들에게 관심이 없고 오로지 마케팅에만 관심이 있는듯 하다" 하고 떠난 장면이 생각난다.
2021년에 국민청원에 등장한 배드민턴 국가대표 선발할때 성적 50%, 심사위원 평가 50% 여서 성적이 아무리 좋아도 심사위원 평가가 좋지 않으면 선발되지 않는다. 실제적으로 심사위원 3명이 자기 팀 선수를 평가는 일이 벌어졌다. ( 그다음에 심사위원 평가는 10%로 하향조정)
배드민턴 협회장 서둘러 귀국하면서 안세영 기자회견 하지말고 대기하라고 해놓고 모르는 척, 서둘러 귀국하는 것부터 냄새가 난다.
축구 협회장, 배드민턴 협회장 두 사람 양궁 협회장을 좀 본받아라~~
그냥 답답해서 두서없이 적어봤다.
그냥일상/끄적끄적
진정한 리더들이 필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댓글